티스토리 뷰

 

북한산 우이령길 예약방법 찾고 계시죠? 국립공원 중 하나인 북한산 우이령 등산 코스는 예약 없이 등산이 불가하여, 주말에는 많은 분들로 인해 마감된 날짜도 많다고 합니다.

 

다른 분들보다 빠르게 예약하셔서 등산가셨다가 입구에서 그냥 돌아오시는 경우 없으시길 바랍니다! 그리고 날씨 등 여러 사유로 인해 북한산 일부 통제되어, 당일에 통제 여부 아래에서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북한산 우이령코스 예약 방법(전화)

북한산 우이령 코스는 예약 후 등반이 가능한 코스로 온라인뿐만 아니라 전화 예약도 가능하여, 온라인 예약 진행이 어려운 분들도 쉽게 하실 수 있습니다. 맑고 청정한 자연 속에서 철마다 많은 인파감 몰려드는 시기에도 보다 여유로운 산행을 즐길 수 있는 특별한 등산 코스로 각광을 받고 있습니다. 

북한산 우이령길 예약북한산 우이령길 예약북한산 우이령길 예약

  • 65세 이상, 장애인, 외국인만 이동 가능
  • 교현탐방지원센터 : 031-855-6559
  • 우이탐방지원센터 : 02-998-8365

 

 

 

 

 

북한산 우이령코스 안내

북한산 우이령코스는 길이가 7km가 조금 안되는 긴 거리로, 소요시간은 3시간 반이 걸리는 코스입니다. 북한산 우이령길 코스는 2009년 7월 개방하여 탐방 예약제로 운영되고 있는 '212구간 우이령길'입니다. 원래는 일반인들이 이용이 불가능한 군사도로로만 이용이 되었었습니다. 1968년 무장 공비의 청와대 침투사건 이후로 40년간 민간인의 출입을 제한했기 때문에 그만큼 자연적으로 생태계가 잘 보전되어 있습니다. 우수한 생태계를 계속해서 지켜나가기 위해서 지금도 일일 방문객을 1천 명으로 제한해서 운영하고 있습니다.

 

 

북한산 우이령 코스는 날씨와 자연 생태계 보존을 위해서 통제되는 시기가 있다고 합니다. 등산하시기 전에 미리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 코스 : 교현 우이령길 입구 - 교현탐방지원센터 - 석굴암(선택사항) - 유격장, 저수지 - 오봉 산 전망대 - 대전차 장애물 - 우이령길 입구
  • 거리 : 6.8km
  • 소요시간 : 3시간 30분
  • 난이도 : 중

북한산 우이령길 예약북한산 우이령길 예약

 

 

 

 

북한산 우이령 코스 교통편

오늘의 출발점인 교현탐방지원센터를 가기 위해 지하철 구파발역 1번 출구로 나와 버스 704번 또는 34번을 타고 오봉산 석굴암 입구역(우이령 입구)에서 하차합니다. 작은 팁이라면 둘레 길뿐 아니라 송추 등 북한산으로 향하는 많은 산악인들이 구파발역에서 버스를 이용하기 때문에 한 정거장 전인 연신내역에서 내려 같은 버스를 이용하면 20개가 넘는 정류장을 서서 가지 않을 수도 있답니다. 석굴암 입구에 내리면 우이령길을 가리키는 커다란 표지판이 보이고 넓은 길을 따라 걷다 보면 교현탐방지원센터를 만나게 됩니다. 이곳에서 예약확인증과 신분증을 제시하여 예약확인을 마친 후 본격적으로 둘레길 걷기를 시작합니다.

 

1. 우이우이령길 입구

1) 지하철 수유역 3번 출구 - 버스 120, 153번 우이동 차고지종점 하차 (도보 3분)

2) 지하철 북한산우이역 2번 출구

 

2. 교현우이령길 입구

북한산 우이령길 예약북한산 우이령길 예약북한산 우이령길 예약
북한산 우이령길 예약북한산 우이령길 예약북한산 우이령길 예약

1) 지하철 구파발역 1번 출구 - 버스 704.34번 / 석굴암 입구(우이령입구) 하차 (도보 5분)

 

 

 

 

 

 

북한산 우이령코스 운영시간

우이령 코스 운영시간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아래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3월부터 10월까지인 하절기에는 오전 9시부터 오후 4시까지 운영하고 있으며, 11월부터 2월까지인 동절기에는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까지 운영하고 있습니다.

운영 시간
하절기 (3~10월) 9시 ~ 16시
동절기 (11~2월) 9시 ~ 15시

 

북한산 우이령길 예약



 

 

 

북한산 우이령 코스 정보

소 귀 모양의 길이란 뜻을 지닌 '21구간 우이령길'은 총길이 6.8㎞로, 북한산 우이령길 예약 북쪽의 도봉산과 남쪽의 북한산을 구분하는 경계 길입니다. 양주시에 위치한 교현탐방지원센터와 강북구 우이동의 우이탐방지원센터 중에 선택해서 출발할 수 있지요. 북한산 우이령길 예약 출발점 각각의 장단점이 있다면, 우이동 출발은 교현리에 비해 오르막 경사가 많고, 음식점이 북한산 우이령길 예약 즐비한 먹거리 마을 길을 1㎞ 넘게 걸어야 하기 때문에 초반부터 지루할 수 있답니다. 또, 북한산 우이령길 예약 교현리 부근에는 음식점이 적기 때문에 식사를 중요시한다면 우이동에서 북한산 우이령길 예약 산행을 마치고 식사를 해결하는 것이 좋지요. 최종적으로 본인의 집과 출발점까지의 교통, 북한산 우이령길 예약 본인의 산행 실력 정도, 식사 여부를 모두 고려해서 북한산 우이령길 예약 최선의 선택을 하시면 되겠습니다. 오늘은 북한산 우이령길 예약 교현탐방지원센터에서 출발해서 코스에서 살짝 벗어나 있는 석굴암을 둘러보고 저수지 앞 유격장을 지나 북한산 우이령길 예약 오봉 전망대를 거쳐 우이동 입구까지 내려오는 코스랍니다. 북한산 우이령길 예약 우이령(소귀고개) 길은 서울 강북구 우이동과 경기 양주시 교현리를 연결하는 작은 길로, 북쪽의 도봉산과 남쪽의 북한산의 북한산 우이령길 예약 경계입니다.

북한산 우이령길 예약북한산 우이령길 예약북한산 우이령길 예약

북한산 우이령길 예약무장공비의 청와대 침투사건(1968.1.21)으로 인하여 민간인의 출입이 전면 금지되었다가 북한산 우이령길 예약 2009년 7월 탐방 예약제로 개방된 자연생태계가 잘 보전된 지역으로, 우이령 계곡과 숲을 함께 느낄 수 있는 북한산 우이령길 예약 구간입니다. 맨발 체험이 북한산 우이령길 예약 가능하며, 노약자 모두 걸을 수 있는 편안한 길입니다. 한국전쟁 당시 군 차량의 통행과 북한산 우이령길 예약 군사훈련을 목적으로 다듬어진 '21구간 우이령길'은 다른 둘레길에 비해 어떤 장애물도 없이 넓고 북한산 우이령길 예약 완만한 길이 길게 이어집니다. 때문에 다듬어지지 않고 북한산 우이령길 예약 다이내믹한 산길을 즐기는 이들이라면 우이령 길이 밋밋하고 재미없다고 느껴질 수도 있지요.

북한산 우이령길 예약북한산 우이령길 예약북한산 우이령길 예약

하지만, 북한산 우이령길 예약연인이나 가족과 함께 여럿이서 산을 찾는다면 이렇게 나란히 손을 잡고 걸을 수 있는 길은 흔치 않을 겁니다. 게다가 숲의 기운을 받으며 맨발로 걸을 수 있는 북한산 우이령길 예약구간도 있지요. 40여 년간 때 묻지 않고 보존되어 온 자연 속에서 북한산 우이령길 예약새소리, 풀벌레들의 울음소리를 배경 음악으로 담소를 나누며 맨발로 숲길을 걷다 보면 몸과 마음이 부쩍 건강해지고 있음을 북한산 우이령길 예약체감할 수 있을 거예요.

북한산 우이령길 예약북한산 우이령길 예약북한산 우이령길 예약

우이령길을 걷다 보면 계속해서 북한산 우이령길 예약눈을 맞추게 되는 다섯 개의 봉우리가 있는데요, 바로 660m 높이의 오봉이랍니다. 서로 가려져서 북한산 우이령길 예약제대로 보이지 않던 봉우리들이 우이동 쪽으로 걸어가면 갈수록 조금씩 모습을 드러내, 마침내 다섯 개의 봉우리가 북한산 우이령길 예약모두 모습을 드러내는 풍광은 우이령길이 선사하는 선물 중에 하나이지요. 맨 처음 만나는 북한산 우이령길 예약전망대에서 바라보는 오봉은 두 개 정도가 간신히 보이는데요, 북한산 우이령길 예약커다란 바위 위에 작은 바위들이 얹어있는 모습이 참 기이합니다. 이 기이한 형태의 오봉에는 예부터 북한산 우이령길 예약전해오는 여러 전설들이 있는데 그중에 하나가 '다섯 아들 장가들기 시합'이랍니다.

북한산 우이령길 예약북한산 우이령길 예약북한산 우이령길 예약

오봉산 아래 살던 한 부자에게는 북한산 우이령길 예약다섯 아들이 있었는데 그 마을에 새로 부임한 원님의 외동딸에게 모두가 반해 서로 장가를 북한산 우이령길 예약들려고 했답니다. 원님은 오봉산 위에 가장 무거운 바위를 올려놓은 이에게 딸을 북한산 우이령길 예약주겠다 했고, 이에 다섯 북한산 우이령길 예약형제가 상장 능선(오봉과 마주한 뒷면의 능선)의 바위를 오봉에 던져 올리는 시합을 북한산 우이령길 예약벌였지요.

북한산 우이령길 예약북한산 우이령길 예약북한산 우이령길 예약

 

 

 

 



반응형